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차트, 단기매매에 대한 기술적 지표 소개

by 평안한 하루7979 2023. 9. 10.
반응형

  주식에 대한 분석 작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다시 말하자면, 재무제표등으로 기업의 가치를 확인하는 기본적인 분석과, 주가차트에서 가격의 흐름과 위치를 확인하는 기술적인 분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람들은 어떤 분석을 더 선호할까? 수많은 숫자를 확인하고 계산하는 기본적 분석보다는 직관적으로 그림을 보고 판단하는 기술적 분석을 더 좋아한다. 숫자보다는 그림이 이해하기 쉬운 법이기 때문이다. 단기 매매의 경우 짧은 기간에 진입과 청산을 하게 되므로,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기본적 분석보다는 쉽고 간편한 기술적 지표만으로 매매결정을 하는 것이 편하다. 하지만, 건전한 주식투자를 위해는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모두를 할 줄 알아야 하겠다. 오늘은 주린이 가장 흔하게 접하게 되는 기술적 지표에 대한 소개와 주의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썸네일 이미지

 

 일반적인 기술적 지표의 종류와 적용방법

기술적인 지표도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많이 쓰이는 종류는 채널형과 모멘텀/변동성 형태가 있으니, 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이 정도만 알아도 충분하다.

 

 채널형 지표

  • Envelope

envelope 설명

생김새가 봉투처럼 생겼다고 그렇게 이름이 붙여졌다. 수치설정을 통해서 주가의 상방/하방의 임의적인 한계치를 정할수 있다. 특정한 상황이 아니면 설정된 이 한계치에서 주가가 움직인다는 가정으로 주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어떤 상황이 벌어지면서, <A>와 같이 주가가 하방라인에 닿는다면, 매수신호로 판단하며, <B>와 같이 상방라인까지 주가가 움직인다면, 매도 신호로 판단한다.

  • Bolinger band

Bolinger band 설명
삼성전자 , Envelope 지표를 적용한 차트

이 지표도 앞서말한 Envelope와 유사한 개념이다. 통계학의 표준편차 개념을 적용하여, 주가가 90% 이상 머무르게 되는 밴드라인을 만들어 검토를 한다. 이런 논리로 상/하단의 라인에 닿게 되면 그에 대한 반발 움직임에 대해서 매매를 검토하게 된다.

 

Bolinger band 설명
삼성전자 , Bolinger Band 지표를 적용한 차트

볼린저 밴드는 주가가 박스권에 머무르게 되면 수축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박스권을 돌파하는 움직임과 함께 밴드가 확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 또한 매매 신호로 활용한다.

 

 모멘텀 / 변동성 지표

본 지표의 종류는 여러 가지 많은 지표들이 있으나, 아래 두 가지 지표가 대표적인 케이스로써 이에 대한 설명을 해보겠다. 두 가지 지표의 수치값 산출은 서로 다르겠으나, 쓰임새 자체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두 지표 모두 과매수 / 과매도 경향을 판정하는 상하단 수치가 있고, 이 수치를 넘을 때 매매 검토를 한다고 보면 된다. 스토캐스틱의 경우 판정 범위가 넓어서 오류가 잦다고 볼 수 있고, 지표 신뢰도는 RSI 지표가 좋다고 볼 수 있다. 필지는 이 RSI 지표를 매매신호로써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 Stochastic Slow / Fast

Stochastic Slow / Fast 설명
삼성전자, 스토캐스틱 슬로우 지표를 적용

위 그림은 스토캐스틱 SLOW 지표를 적용한 것이다. FAST의 경우 매매신호 발생빈도가 너무 잦아서 사용하기 어렵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매매 신호 발생의 범위가 넓어서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부르고, 결과적으로 잘못된 결정을 내리기 쉽다. (아래 RSI 모습과 비교 바란다.)

 

  • RSI

삼성전자, RSI 지표를 적용

개인적으로 가장 신뢰하고, 타인에게도 적용할 것을 권하는 지표다. 여러 분석모델과 병행하며, 적용해볼 것을 추천한다.

 

오늘은 이정도로 기술적 지표에 대한 예로써 소개한다. 다음은 이 지표들을 적용할 때 흔히 하게 되는 실수에 대해서 적어보도록 하겠다.